국힘 차기 원내사령탑, 친윤 권성동 vs 친한 김태호 격돌
국민의힘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탈당 여부를 시작으로 퇴진 절차·시기, 탄핵소추안 표결 참여와 찬반 등을 두고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탄핵 정국을 수습하고 여권 결속을 주도해야 할 차기 원내 사령탑 선출을 놓고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가 또다시 충돌하며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촉발된 ‘보수궤멸’ 상황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차기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 ‘퇴진 로드맵’ 관련 의원들의 중지를 모으는 한편, 오는 14일 표결 예정인 윤 대통령 2차 탄핵소추안 표결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하지만 4선 이상 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친윤계는 5선의 권성동(강원 강릉) 의원을 추대하기로 의견을 모았고, 한동훈 대표를 포함한 친한계는 ‘친윤계 절대 불가’ 입장을 고수하며 비교적 계파색이 옅은 4선의 김태호(경남 양산을) 의원을 지원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 이날 김 의원이 후보 등록을 하면서 차기 원내대표 선거는 두 사람의 대결로 치러지게 됐다.
원내대표를 두고 벌어진 친윤계와 친한계의 신경전은 결국 탄핵 정국에서 당내 주도권 확보와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향후 여당 의원들의 탄핵 표결과 국정 수습 과정에서 원내대표의 뜻이 의원들의 의사결정에 주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조기 대선이 실시되고, 한 대표가 대선 출마를 위해 대표직을 사퇴한다면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대선을 준비해야 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친윤계는 “위기 상황임을 감안해 원내 다수인 영남 의원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중진이 원내대표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친한계는 탄핵 정국이 윤 대통령의 위헌·위법적 비상계엄 선포에서 비롯된 만큼 친윤계가 원내를 이끌 경우 사태 수습 과정에서 윤 대통령을 향한 부정적 여론으로 ‘역풍’이 커질 수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댓글 0개
| 엮인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