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 자주 발병하는 3종암 원인 알고 예방하자

(위암, 간암, 폐암)

암 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하는 세상이 왔다.


치료 의학이 발달되고 조기암 진단이 확대된 덕분이다.


보건복지부의 ‘2014년 암 등록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0.2014년) 암 환자가 생존할 확률(5년 생존율)은 70.3%로 매년 꾸준히 상승해 처음으로 70%대에 진입했다. 하지만 모든 암이 다 그런 것은 아니다.


초기 증상이 없어 발견이 어려운 췌장암(10.1%), 폐암(25.1%)의 생존율은 여전히 낮다.


간암(32.8%)도 비교적 낮은 편이다.

이에 남녀 공통으로 많은 암 중에 대표적인 암인 위암, 간암, 폐암의 발생 현황과 원인, 예방법 등을 국립암센터의 도움말로 알아봤다.

 

▶ 식생활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발병 주원인인 위암
 2016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에서는 21만 7,057건의 암이 발생했는데, 그중 위암은 남녀를 합쳐 2만 9,854건, 전체 암 발생의 13.8%로 2위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조(粗)발생률(해당 관찰 기간 중 대상 인구 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환자 수)은 58.8건이다.

 
 남녀 성비는 2.1:1로 남자에게 더 많이 위암이 발생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2만 87건으로 남성 암 중 1위를 차지했고, 여자는 9,767건으로 여성의 암 중 4위다. 남녀를 합쳐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26.4%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6.2%, 50대가 23%의 순이었다.

 
 이처럼 한국 남성에게 가장 많은 위암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암 관련 질병, 식생활, 흡연, 그리고 가족력 등과 관련이 있다.

위암의 가족력에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위암은 흡연과 관련이 많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위암 발병 위험도가 3배 정도 높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남녀 간 식생활 차이가 별로 없음에도 남자의 위암 발생이 여자의 2배 가까운 것은 남성의 흡연율이 여성보다 높다는 사실과 연관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 밖에도 음주 등 다른 환경적 요인이 있지만, 담배는 가장 잘 알려진 발암 원인이기 때문이다.


담배 연기에는 인체에 아주 해로운 청산가스, 비소, 페놀 등을 포함한 6,960여 종의 발암물질과 4,000여 가지의 독성 화학물질이 포함돼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위산 속에서도 살 수 있는 나선형 세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위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 위암 발생에 독립적으로 관여한다고 인정하기에는 아직 의학적 증거가 불충분하지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률이 높은 나라에서 위암의 발병률이 높기 때문에 감염자는 위암 발생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는 16세 이상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률이 60%에 달하는데, 이 중 20%에서만 임상적으로 위장관 질환이 나타나고 1% 미만의 환자에서 위암이 발병한다.


따라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암 발생의 위험도를 2.8~6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암 예방을 위한 이 균의 집단검진이나 항생제 치료 등은 효과가 충분히 증명되지 않아 일반적으로 권하지 않는다.

 
또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가족력이 없는 사람보다 위암 발생률이 2배로 증가한다.


유전 요인보다는 가족의 생활환경, 특히 식생활 습관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불규칙한 식사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으로 인한 위의 점막 손상으로 위암이 생길 수도 있다.


대표적인 위 점막 손상으로는 만성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 등이 있다.


만성 위축성 위염이란 위의 정상적인 샘 구조가 소실된 상태를 말하는데 이 질환이 있으면 위암의 발생 위험도가 6배 증가한다.


또 위축성 위염이 위암으로 진행하는 빈도는 연간 0~1.8%로 알려져 있다.


장상피화생은 위세포가 소장 세포로 대치되는 것인데 이 질환이 있으면 위암의 발생 위험도는 10~20배, 위암으로의 진행률은 0~10%로 연구마다 차이가 크다.


이형성의 경우 세포의 모양과 크기 변화, 핵의 크기 증가, 정상적인 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저등급, 중등급, 고등급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고등급 이형성의 위암 발생률은 33~85%에 달한다.

 
 또 짠 음식을 많이 섭취한 사람은 적게 섭취한 사람보다 위암 발병 위험도가 4.5배 더 높다. 이 밖에도 가공된 햄이나 소시지류, 탄 음식도 위암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된다.

 

▶ 간암 예방, 음주·비만 피해야
 2016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간암은 남녀를 합쳐 1만 6,178건, 전체 암 발생의 7.5%로 6위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조(粗)발생률은 31.9건이다. 간암의 경우 남녀의 성비는 2.9: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1만 2,058건으로 남성의 암 가운데 4위를 차지했고, 여자는 4,120건으로 여성의 암 중 6위다. 남녀를 합쳐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27.2%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5.2%, 70대가 24.8%의 순이었다.

 
 간암은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가 다른 암들보다 잘 알려져 있다.


만성 B형 또는 C형 간염, (모든 원인의)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 질환, 비만이나 당뇨와 관련된 지방성 간 질환, 그리고 아프리카 등지에서는 특정 곰팡이류가 만들어내는 발암물질 아플라톡신 B(aflatoxin B) 등이 간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2014년 대한간암학회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간암 환자의 72%가 B형 간염바이러스(HBV, hepatitis B virus), 12%가 C형 간염바이러스(HCV, hepatitis C virus)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9%가 알코올, 4%가 기타 원인과 연관이 있었다. 


B형 간염바이러스 만성 보유자는 대부분이 그 바이러스를 지닌 어머니에게서 출생 시에 감염되며, 그들의 반수 이상이 만성 간염이나 흔히 간경화라고 부르는 간경변증으로 진행한다.


해마다 간경변증 환자의 1~5%에서 간암이 발생하고 있다. 


간암은 간경변증이 심할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잘 발생하며, 남자에게 더 흔하다.


이 요소들이 길게는 수십 년에 이르는 오랜 세월 동안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그것이 축적되어 암이 생기므로, 평소에 위험요인들을 피하면서 간암 예방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주는 간암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알코올을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경화를 유발하고, 이는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


알코올은 특히 C형 간염바이러스(HCV) 감염자에서 간암 발생률을 높이며, B형 간염바이러스(HBV) 보유자에서도 간암 발생을 앞당기므로 주의해야 한다.


흡연도 간암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다.


담배 연기가 폐로 흡수되면서 각종 유해물질이 간을 포함한 전신으로 퍼져 물질대사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국제암연구기관에서는 술과 함께 흡연도 간암의 1급 발암원으로 분류했다. 흡연자가 음주도 하면 간암 발생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 비만에도 주의해야 한다.


과체중이나 비만이 간암을 유발할 수 있는데 비만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 상태가 발암 과정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특발성(特發性 idiopathic ; 발병 원인을 잘 모름) 간경변증이나 만성 간염 같은 전구(前驅) 질환(전구 질환 또는 전구 병변이란, 먼저 생긴 병변이 더 중대한 병을 속발시켰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앞선 병변을 이르는 말)이 있는 경우에는 과체중과 비만으로 인한 간암 발생 위험도가 더욱 높아진다.


더구나 비만인 사람의 간암 발생 위험도는 정상 체중일 경우의 약 2배에 달한다.


 부패된 땅콩이나 옥수수 등에 생기는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라는 곰팡이에서 생성되는 아플라톡신 B1이라는 발암물질을 섭취할 경우에도 간암에 걸릴 수 있다.


다행히 우리나라에는 이 곰팡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직·간접 흡연, 석면 노출이 폐암의 절대적 원인
2016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폐암은 남녀를 합쳐 2만 4,027건, 전체 암 발생의 11.1%로 4위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조(粗)발생률은 47.3건이다. 남녀의 성비는 2.3: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1만 6,750건으로 남성의 암 중에서 2위를 차지했고, 여자는 7,277건으로 여성의 암 중 5위였다.


남녀를 합쳐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36.7%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6.2%, 80대 이상이 16.9%의 순이다.

 
흡연은 폐암의 대표적인 발병 요인이다.


담배에서는 7,000종 가량의 유해물질이 발견되는데, 이 가운데 발암물질로 알려진 것이 69여 종 이상이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피우지 않은 사람에 비해 폐암에 걸릴 위험이 15~80배까지 증가한다.


흡연과 폐암의 상관관계는 담배를 피우는 양이 많을수록, 일찍 흡연을 시작할수록, 흡연 기간이 길수록 커진다.


또한 피우는 형태와도 관련이 있어 담배 연기를 들이마시는 깊이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진다.

 
 한국 남자들의 여전히 높은 흡연율, 여성과 청소년의 흡연율 증가는 흡연 인구가 감소하는 세계적 추세에 역행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금연 운동을 시작하고 30년이 지나야 폐암 사망률이 감소했다는 여러 나라의 경험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흡연 증가율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직접 흡연이 1차 흡연이라면 간접 흡연은 2차 흡연에 해당된다.


간접 흡연은 비흡연자가 흡연자와 같이 생활하거나 그 주위에 있으면서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담배 연기를 흡입하는 것인데 직접 흡연과 마찬가지로 폐암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석면과 연관된 폐암은 직업상 노출 때문인 경우가 많다.


석면은 건축 자재(예전의 슬레이트 지붕 등), 저밀도 단열재, 전기 절연재, 방화재 등 다용도로 쓰여왔는데, 석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10~35년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흡연자라면 폐암의 위험이 훨씬 더 커지기 쉽다.


이 밖에 특수 직업을 가진 사람군에서도 높다. 가령 알루미늄 생산, 코크스(cokes) 생산, 주물업, 도장공과 같이 특정 작업에 종사하는 경우에도 폐암 위험이 증가한다.


이들 직업의 작업 환경의 경우 결정형 유리규산 분진, 비소, 베릴륨, 카드뮴, 6가크롬, 니켈 등의 중금속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들 물질 모두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이외에도 콜타르 피치, 비스-클로로메틸에테르(bis-chloromethylether), 검댕 같은 화기물질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폐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모든 종류의 방사성 동위원소는 발암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라늄은 소세포폐암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며, 특히 흡연자에게서 발생 빈도가 현저히 증가한다. 라돈은 라듐이 토양이나 암석, 물속에서 붕괴할 때 발생하는 무색무취의 방사성 가스로, 대개 지표면을 통해 건물 내부 등으로 들어간다.


흡연에 다음가는 폐암 발생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단순 X-선 촬영이나 전산화단층촬영(CT) 같은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쐬는 방사선량은 미미하므로 폐암의 발생 원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일상생활 주변에도 원인 물질이 있다.


가령 디젤 연소물, 대기오염 먼지 중에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 중금속 등 발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장기간 다량 노출되는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폐암은 대부분 후천적인 유전자 이상 때문에 발생하며, 선천적인 유전자 이상에 의한 경우는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엔, 다시 말해서 가족 중에 폐암 환자가 있으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발병 위험이 2~3배 정도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예성진 기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목록
종합뉴스 > 건강
종합뉴스 > 건강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294 환절기에 더 민감해지는 심장 편집부 2018.10.26
293 차에 오르기 전, 안전 운전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 편집부 2018.10.25
292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지 않으려면? 편집부 2018.10.25
291 알고 먹으면 더 건강해지는 비타민에 관한 진실 편집부 2018.10.24
290 노인성 백내장, 가장 적절한 치료는? 편집부 2018.10.24
289 소리없이 다가오는 위협 '간암' 편집부 2018.10.24
288 '분노조절법' 참을 인자 세 번으로 화를 면하자 편집부 2018.10.24
287 평화로운 일상을 위협하는 뇌혈관질환 편집부 2018.10.24
286 폐암보다 위험하다 만성하기도질환 편집부 2018.10.24
285 성가신 코피, 원인과 대책은? 편집부 2018.10.24
284 머리카락이 숭숭~ 탈모의 원인 및 예방법사진 편집부 2018.09.06
283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사진 편집부 2018.09.06
282 부정맥 바르고 정확하게 알기 편집부 2018.02.13
281 현기증으로 알아보는 여러 질병 편집부 2018.02.13
280 현기증이 나는 이유 편집부 2018.02.13
279 중년 남성의 삶의 질 떨어뜨리는 전립선비대증 편집부 2018.02.13
278 소화장애로 알아보는 장기 기능 이상 뭐가 있을까 편집부 2018.01.30
277 비鼻출혈 편집부 2018.01.30
276 남성갱년기 편집부 2018.01.30
275 소화장애 편집부 2018.01.25
274 탈모 극복하기 편집부 2018.01.25
273 수면 위생 지키기로 건강 찾기 편집부 2018.01.25
272 우유 속 단백질이 위점막 보호ㆍ개선한다! 편집부 2017.10.20
271 과거에 집착하는 나, 비정상인가요? 편집부 2017.10.20
270 만성소화불량 해결하고 마음껏 먹자 편집부 2017.10.20
269 반복적 사고와 행동에 갇힌 나, 강박장애 편집부 2017.10.20
268 한국인 사망원인 3위, 심장질환 편집부 2017.10.20
267 발진성 감염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법 편집부 2017.10.20
266 창문을 열고, 다시 운동을 시작하자 편집부 2017.10.20
265 감기 관련 상식에 대한 진실과 거짓 편집부 2017.10.20
264 뇌가 보내는 경고 메세지 두통 편집부 2017.10.20
263 무심코 지나치면 안되는 두통 편집부 2017.10.20
262 고령화 사회의 문제로 대두될 질병 당뇨!사진 편집부 2017.10.20
261 불긋불긋 온몸에 찾아든 염증, 피부 발진 편집부 2017.10.20
260 고혈압 생명을 위협하는 침묵의 병 편집부 2017.10.20
>> 한국인에 자주 발병하는 3종암 원인 알고 예방하자.. 편집부 2017.07.27
258 운동하는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편집부 2017.07.27
257 위협받고 있는 여성의 건강 편집부 2017.07.27
256 겨울철 시니어를 위한 건강한 관절 관리법 편집부 2017.07.27
255 미세먼지로부터 내 가족 지키기 편집부 2017.07.27
254 집에서 따라하는 건강한 코 관리법 편집부 2017.07.27
253 찬 바람 불면 찾아오는 불청객 알레르기성 비염 정.. 편집부 2017.07.27
252 코막힘으로 알아보는 네가지 질병 편집부 2017.07.27
251 코막힘, 그 원인은 무엇인가 편집부 2017.07.27
250 몸 안의 방아쇠, 혈관질환 편집부 2017.07.27
249 건강 적신호를 부르는 연말 과로와 음주 편집부 2017.07.27
248 건강한 코 관리법 편집부 2017.07.27
247 하지정맥류의 발생원인과 예방법 편집부 2017.07.27
246 노인 순환기계 질환과 예방법 편집부 2017.07.27
245 눈꺼풀 떨림이 뇌질환 때문? 편집부 2017.07.27
244 모든 질병은 ‘혈관’에서 시작된다 편집부 2017.07.27
243 봄철 황사와 미세먼지 똑똑하게 대처하기 편집부 2017.05.19
242 한국인 잠에 관해 잘못 알고 있는 상식들 편집부 2017.05.19
241 콜레스테롤은 무조건 나쁘다!? 편집부 2017.05.19
240 하지정맥류의 발생원인과 예방법 편집부 2017.05.19
239 우리 아이 혈관 나이? 규칙적인 생활습관으로 바꿔.. 편집부 2017.05.19
238 몸 안의 방아쇠, 혈관질환 편집부 2017.05.19
237 눈꺼풀 떨림이 뇌질환 때문? 편집부 2017.05.19
236 모든 질병은 ‘혈관’에서 시작된다 편집부 2017.05.19
235 몸 안의 방아쇠, 혈관질환 편집부 2017.03.29
이전다음 글쓰기새로고침
 
최근글,댓글 출력
과로로 뇌출혈 발생 공무원…“보훈보상대상..
고속도로 개방형 휴게소 추진
한약 건보 적용 확대
尹 대통령 “우리는 정치적 운명 공동체”..
공무원 민간경력채용 서류, ‘면접합격자’..
최근글,댓글 출력
‘가짜 3.3% 사업소득 근절’ 고용·산..
SH공사, 신입사원 45명 공채…23일까..
한온시스템, 경영지원 등 채용 연계형 인..
저품질·정보유출 논란 ‘알리·테무’ 국내..
1962년 이래 4명 뿐인 직업…‘필경사..
최근글,댓글 출력
어버이날 ‘꽃보다 용돈·식사’...칠성 ..
정부 “보정심·전문위원회 회의록 작성·보..
의·정갈등, 법원 판단이 ‘분수령’될 듯..
KTX 3자녀 이상 ‘반값’ ...코레일..
서울의대 교수 97% “환자 지키고 싶다..
최근글,댓글 출력
경북대, 영국 THE 아시아 대학평가서 ..
계명대 미대생들, 우즈벡서 3년째 예술 ..
영남대, LG전자 미래연구센터 개소…차세..
대구대, 유학·이주·재외동포의 다양한 삶..
대가대, 안중근 의사 유묵 서예대전 전시..
최근글,댓글 출력
경북교육청, 교육환경 변화 맞춰 조직 개..
2026학년도 大入 비수도권 의대 정원 ..
서부교육청, '서부 초등 기초학력 향상 ..
대구교육청 “향교·서원체험으로 올바른 인..
경북교육청 공무원 신규임용 경쟁률 5.4..
최근글,댓글 출력
집권 3년차 尹, 檢 인맥·친윤 없이 홀..
尹 “민심 청취 취약했다…사법리스크 있다..
與 원내대표, TK서 다시 나올까
김건희·김정숙·김혜경 ‘3김 여사’ 특검..
與 황우여 “전당대회 한 달 이상 늦어질..
최근글,댓글 출력
한총리, 동계청소년올림픽 마무리 현장 방..
유인촌 장관, 강원2024 경기장·선수촌..
2028년까지 등록 스포츠클럽 5만 개 ..
2024 강원 동계 청소년올림픽 D-10..
강원청소년올림픽 성화, 내달 3일 그리스..
최근글,댓글 출력
경북대병원 고용산 교수, 내시경학회 ‘최..
완치 없는 당뇨병…‘아차’ 싶을 땐 늦어..
희귀질환 앓는 소아·청소년, 구강건강 관..
“부정맥 치료 수준 한 단계 높이자”
소변 잦은데다 독감 증상까지?…‘급성 신..
최근글,댓글 출력
밤이 더 아름다운 ‘야간관광 특화도시’,..
장미란 문체부 차관, 안도라·산마리노 방..
한·중·일 모여 미래세대 위한 문화예술교..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응원 영상..
2025년 동아시아문화도시 선정 공모…한..
최근글,댓글 출력
대구경찰청, 선거경비 통합상황실 가동
대구경찰청, 올해 주요 업무계획 보고회
기존 출판물 내용과 유사한 인터넷 강의교..
군위서 경운기 비탈길에 추락…70대 숨져..
대구보건환경연구원, 질병연구 분야 숙련도..
오늘의 포토!